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8

우리나라 직장인의 통근시간 통계 0810~1818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를 보면 경기도 사는 주인공들은 출퇴근 지하철 지옥을 진지하게 피곤해한다. 서울 사람들은 모른다며..통계청 조사 통근 근로자의 이동특성 통계에 따르면 출퇴근 소요시간은 남성 77.7분 여성 68.8분으로 경기도 사는 이엘이 아버지 천호진에 대한 불평은 과한 게 아니었다. 출근 퇴근 각각 2시간씩 4시간이면 평균보다 거의 2배나 걸리는 것이니까 말이다. 그럼 통근 근로자의 이동특성 통계를 볼까요통근근로자 이동특성(통신데이터 활용)8시 10분 출근 18시 18분 퇴근, 수도권이 가장 출퇴근이동거리가 길고 그만큼 길거리에서 버리는 통근시간도 82분으로 가장 오래 걸리네요. 근무지 체류시간도 역시 수도권에 있는 기업들이 힘든 건지 9.3시간으로 가장 기네요. 1년 중 일하는 날이 250일 안.. 2025. 1. 2.
정선근박사의 목디스크 신전운동 (정승제강사 추천) 예전에 오십견이 되고 아파서 나중에는 마비까지 돼서 급히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고 정성근교수의 "백년목" 책을 읽고 유퀴즈까지 보고 지금은 많이 나아졌어요. 모니터도 엄청 높였고요 신전운동도 꾸준히 했지요. 벌써 2년 지났네요. 그런데 최근 수학 일타 강사 정승제가 목 디스크에 좋은 신전 운동의 효과 YouTube EBS 채널에서 5분 정도 효과를 홍보해서 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백년 목목디스크 신전운동과 효과 및 주의법현대인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목디스크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장시간의 스마트폰 사용, 컴퓨터 작업,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목에 부담이 가해지면서 디스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목디스크 신전운동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올.. 2024. 12. 30.
트럼프2.0시대의 2025년 환율전망 트럼프 2.0 시대의 2025년 환율과 우리나라 경제전망은..트럼프 2.0에 탄핵에 환율까지 1500을 뚫을까 우려되고, 유래없는 한국은행의 금리인하예고에 불안 불안한데요 그래서 각 기관의 환율전망수치를 집계해 보고 트럼프 2.0 시대에 우려되는 상황을 조사해 보았습니다.1. 2025년 환율전망 집계 결과각 기관의 전망결과 평균은 약 1300원 수준이네요. 그래도 환율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정책 및 시장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2. 트럼프 2.0 시대트럼프 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강조되었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를 통해 국제 경제, 안보, 외교 정책에서 대규모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동맹국과의 관계, 글로벌 공급망, 대외 .. 2024. 12. 27.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3 여가, 웰빙, 노동, 생활환경 주요 통계로 본 2024 현재와 미래통계청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어요.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를 드러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가와 웰빙, 노동과 생활환경 등 주요 영역에서 나타난 2020~2023년 사이의 통계적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3. 여가와 웰빙, 노동과 생활환경 이야기입니다1. 중장년층의 여가와 행복50~64세 신중년은 비활동적 여가에 많이 참여하지만, 활동적 여가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입니다. 특히 행복 수준이 낮은 집단은 단조로운 여가활동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 다채로운 여가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됩니다.신중년이라는 말은 신조어로 50~64세의 젊고 일하는 세대를 의미합니다 신중년은 행복 수준이 높을수록 .. 2024. 12. 25.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2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 주요 통계로 본 2024 현재와 미래통계청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어요.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를 드러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에서 나타난 2020~2023년 사이의 통계적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2. 주거, 건강, 범죄와 안전 이야기 1. 노인가구의 주거 형태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가구의 74.9%가 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도심 지역에서는 62.3%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2022년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74.9%가 자가에 거주하며, 35.4%가 30년 이상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22.1%는 현 거주 주택의 개조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방수상태, 난방.. 2024. 12. 25.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1. 인구 가구 가족 분야 주요 통계로 본 2024 현재와 미래통계청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어요.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를 드러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구와 가족, 사회통합,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 여가와 웰빙, 노동과 생활환경 등 주요 영역에서 나타난 2020~2023년 사이의 통계적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인구와 가족 분야 이야기입니다. 관련 파일 다운로드는 아래 ’ 20년 40대 미혼자 비율이 ’ 00년 대비 남성 6.7배, 여성 5.7배 증가, 미혼자의 결혼 긍정인식은 감소 추세이고, 결혼의향은 교육, 경제, 건강이 좋을수록 높음’ 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 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 20~30대 이동은 생애.. 2024. 12.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