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균과 통계기반 사회정보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2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

by 트루써니 2024. 12. 25.
728x90
반응형

주요 통계로 본 2024 현재와 미래

통계청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어요.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를 드러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에서 나타난 2020~2023년 사이의 통계적 변화와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D2412062.pdf
2.86MB

 

 


 

2. 주거, 건강, 범죄와 안전 이야기



 

1. 노인가구의 주거 형태

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가구의 74.9%가 자가 거주하고 있으며, 도심 지역에서는 62.3%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22년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74.9%가 자가 거주, 도지역은 62.3%가 단독주택 거주

2022년 65세 이상 노인가구의 74.9%가 자가에 거주하며, 35.4%가 30년 이상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22.1%는 현 거주 주택의 개조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방수상태, 난방·단열, 집의 구조물 개선과 안전바닥재, 응급비상벨, 단차제거 등을 필요로 합니다



2. 다약제 처방 문제

2023년 65세 이상 외래 처방환자 중 41.8%가 5개 이상의 다약제를 90일 이상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고령층의 약물 부작용 및 관리 문제를 드러냅니다.

2023년 65세 이상 노인 외래 처방환자의 5개 이상 다약제(90일 이상) 비율은 41.8%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이 진단받은 만성질환 수는 평균 2.2개로,63.9%의 노인이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2023년 65세 이상 노인 외래 처방환자의 41.8%가 5개 이상 다약제(90일 이상)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약제 사용은 입원 위험도를 1.24배, 노인주의 약물 사용은 장기요양등급 판정 위험도를 1.71배 증가시킵니다.


3. 비만 관련 질병 사망자 증가

2022년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1만 2천 명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습니다. 이는 생활습관 변화 및 건강 관리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2022년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1만 2천 명으로 전년대비 7.5% 크게 증가

2022년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1만 2천 명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은 순환계통 질환(43.2%), 악성신생물(암, 37.4%), 내분비 질환(10.4%) 순입니다

4. 마약류 범죄의 급증

2023년 마약류 범죄로 단속된 인원이 2만 8천 명으로, 10년 전보다 2.8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예방 교육과 단속 강화가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2023년 마약류 범죄로 단속된 인원은 2만 8천 명으로 10년간 2.8배 증가

약물로 인한 사망자는 2012년 255명에서 2021년 559명으로 10년간 2.2배 증가하였고  의료용 마약류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12년 44명에서 2021년 169명으로 3.8배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 마약류 범죄로 단속된 인원은 2만 7천 명으로 10년간 2.8배 증가했습니다. 10-20대 마약류 사범이 35.6%를 차지하며, 의료용 마약류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21년 169명으로 10년간 3.8배 증가했습니다.




사실은 보고서가 좋아서 몇개 추려서 정리했는데 정리가 어렵군요. 보고서를 사실 읽어봐야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일독 권장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