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트루써니입니다 통계청에서 2023년 육아휴직통계가 나왔는데요
다양한 출산휴가 통계 분석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데이터는 육아와 일의 균형, 그리고 성평등한 육아 참여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네요

전체 육아휴직자 통계 현황
2023년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19만 5,986명으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습니다.
육아휴직의 대상은 임신 중이거나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이지만
실제 육아휴직의 성별 비율: 전체 육아휴직자 중 여성(모)이 74.3%, 남성(부)이 25.7%를 차지해서 남성의 2.9배에 달합니다

여성 육아휴직자 특성
연령대: 30~34세가 41.3%로 가장 높은 비중, 산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9.4%로 최다
2023년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32.9%로, 전년 대비 1.6% p 상승했습니다.
성별 사용률은 아직도 엄마가.. 아버지: 7.4% , 어머니: 73.2%

출생아 100명당 육아휴직자 수: 37.9명 (전년 대비 2.5명 증가)
지역별 육아휴직 사용률
상위 지역: 세종(37.0%), 강원(36.1%), 하위 지역: 울산(29.7%), 경남(30.7%)

성별 최고 사용률
어머니: 울산(77.1%), 아버지: 세종(11.6%)
장기 육아휴직 패턴 분석
2014년에 출산하여 2023년까지 1자녀만 둔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는 자녀 나이 0세 때 83.5%로 가장 높게 사용하고 아버지는 자녀 나이 7세 때 17.9%로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임

출산 전후 취업 현황
2023년 출산한 어머니의 취업 현황은 출산일 기준 취업률은 56.8%로..

전반적으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성별 간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 특히 아버지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점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지역별, 산업별 차이도 주목할 만합니다. 공공부문과 일부 지역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과 산업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률을 보입니다.
이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영역을 시사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자녀의 나이에 따른 육아휴직 사용 패턴도 흥미롭습니다. 어머니는 출산 직후, 아버지는 자녀가 더 큰 나이일 때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가족 내 육아 분담의 현실을 반영합니다.
마지막으로, 출산 전후 여성의 취업률 감소는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는 더 나은 육아 지원 정책과 직장 문화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통계는 향후 육아 정책 수립과 직장 문화 개선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평균과 통계기반 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직장인의 통근시간 통계 0810~1818 (0) | 2025.01.02 |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3 여가, 웰빙, 노동, 생활환경 (35) | 2024.12.25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2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 (3) | 2024.12.25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1. 인구 가구 가족 분야 (2) | 2024.12.24 |
Google Year in search 2024, 올해의 구글 검색 탑5 (1)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