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나의 해방일지를 보면 경기도 사는 주인공들은 출퇴근 지하철 지옥을 진지하게 피곤해한다. 서울 사람들은 모른다며..

통계청 조사 통근 근로자의 이동특성 통계에 따르면 출퇴근 소요시간은 남성 77.7분 여성 68.8분으로 경기도 사는 이엘이 아버지 천호진에 대한 불평은 과한 게 아니었다. 출근 퇴근 각각 2시간씩 4시간이면 평균보다 거의 2배나 걸리는 것이니까 말이다. 그럼 통근 근로자의 이동특성 통계를 볼까요
통근근로자 이동특성(통신데이터 활용)
8시 10분 출근 18시 18분 퇴근, 수도권이 가장 출퇴근이동거리가 길고 그만큼 길거리에서 버리는 통근시간도 82분으로 가장 오래 걸리네요. 근무지 체류시간도 역시 수도권에 있는 기업들이 힘든 건지 9.3시간으로 가장 기네요. 1년 중 일하는 날이 250일 안팎이라는 걸 고려하면 12일 하고도 반나절은 출퇴근길 이동에 쓰는 셈이다. 통근자의 평균 이동 거리는 18.4㎞였다.

수도권 근무지인 경우 8시 10분에 출근 18시 18분 퇴근
먼저 출근은 평균 아침 8시 10분에 출근하고 퇴근은 18시 18분이네요. 출근을 다들 저보다 일찍 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9시까지 출근이 아닐 수도 있으니 고려하고 봐야 합니다.
1. 출퇴근시각 : 8:10~18:18
전체 평균 출근 시각은 오전 8시 10분.
남성은 오전 8시 1분, 여성은 오전 8시 22분으로 남성이 21분 더 일찍 출근.
출근 시간대 분포
오전 7 시대(31.5%) > 오전 8 시대(28.7%) > 오전 6 시대(15.7%).

전체 평균 퇴근 시각은 오후 6시 18분.
남성과 여성의 퇴근 시각 차이는 거의 없음(남성: 오후 6시 17분, 여성: 오후 6시 18분).
퇴근 시간대 분포:
오후 6 시대(28.5%) > 오후 5 시대(25.5%) > 오후 7 시대(19%).

2. 출퇴근 소요 시간 : 73.9분
평균 소요 시간은 73.9분

남성: 77.7분, 여성: 68.8분으로 남성이 더 오래 소요되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직장인의 소요 시간이 82분으로 가장 길다.

나이대가 20대보다 60대가 소요시간이 짧아지는걸 보면 중간에 점점 근처로 이사가게 되거나 이직하는 거겠죠
3. 출퇴근 이동 거리 18.4km
남성: 19.8㎞, 여성: 13.9㎞.
연령별로는 40대 남성(21.6㎞)과 30대 여성(15.8㎞)이 가장 긴 거리 이동.
평균 이동 거리: 18.4km.
수도권 직장인: 출퇴근 소요 시간이 평균 83.2분, 이동 거리는 20km로 가장 길었음.
강원권 직장인: 평균 소요 시간이 52.1분으로 가장 짧았음.
4. 출근 및 퇴근 시간대
아침 7시 이전 출근자는 전체의 24.6%.
남성: 31.6%가 아침 7시 이전에 출근.
여성: 오전 8 시대 출근 비율이 26%로 가장 높음.
연령대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이른 출근 및 퇴근 비율이 증가.
5. 지역 차이

수도권: 출퇴근 시간이 가장 길고 이동 거리도 가장 멀었음.
강원권: 출퇴근 소요 시간이 가장 짧고 이동 거리도 비교적 짧음.
제주권: 이동 거리가 15.7km로 가장 짧았음.
직주근접 부럽네요 카페나 식당등 영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을 통계자료 같습니다만.
참고파일 다운로드는 🔽🔽
'평균과 통계기반 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소비트렌드 5가지: 2024년과 비교한 소비자 행동과 기업의 대응 전략 (2) | 2025.01.05 |
---|---|
전자레인지 원리 및 사용가능 플라스틱 번호는 ... (1) | 2025.01.02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3 여가, 웰빙, 노동, 생활환경 (35) | 2024.12.25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2 주거와 건강, 범죄와 안전 (3) | 2024.12.25 |
한국의 사회동향 2024 - 1. 인구 가구 가족 분야 (2)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