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균과 통계기반 사회정보

우리나라 어업 생산동향 (통계청 24 발표) + 서해 동해의 생산 대표 어종

by 트루써니 2025. 2. 23.
728x90
반응형

지구온난화로 물고기 생산량이 달라진다고 하잖아요? 우리나라 연안에 사는 고기류도 바뀌고요. 예를 들면 동해안에 오징어가 안 잡힌다는 등.. 진짜 그럴까요?

그래서 통계청에서 24년 기준 어업생산량 통계를 발표했는데 주요 통계를 정리하고 공유드립니다.



우리나라 어종별 생산량 통계

1. 최근 5년 어업생산량 증감통계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한 어종은
1. 청어, 2. 참조기, 3. 젓새우류, 4. 문어류, 5. 곰피이고요


반대로 전년 대비 감소한 어종은
1. 고등어 2. 멸치 3. 갈치 4. 꽃게 5. 오징어입니다.

고등어 갈치 오징어 같은 종이 그래서 가격이 오른 거죠. 특히 5년 평균대비 감소는 멸치 갈치 오징어네요


2. 지역벽 어업생산량 통계

최근 5년의 지역별 어업생산량의 어종을 보면 서해안 대표어종은 새우 까나리 조개 꽃게 꼬막 등이고, 동해에서는 청어, 방어, 대게, 고등어 등이 많이 생산되는 어종입니다.




3. 어업 생산량 대비 어업생산금액

어업생산량은 전년 대비 2.2% 감소해서 어업생산금액은 6.9% 증가했습니다. 비싸지는 거죠

통계청 자료 발췌




참고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Document Viewer

kostat.g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