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기업분할, 인적분할 물적분할의 개념과 장단점 주주에게 유리한 건?

by 트루써니 2025. 2. 16.
728x90
반응형


최근 한화그룹 주가가 상승 중인데요. 그 시작은 분할이었어요.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은 기업 분할의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각각의 구조와 목적이 다릅니다. 이를 그림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분할 썸네일



용어가 한번 들으면 헷갈리는데 왜 인적이냐 물적이냐의 구분은 신설법인 주식의 소유권이 기존회사의 주주(사람)에게 있느냐(인적분할), 아니면 기존회사(사물)에 있느냐 (물적분할)입니다.


그러니까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두 명칭의 기
준은 신설기업 주식의 소유자가 사람이냐 사물이냐입니다




1. 인적분할 (Horizontal Split-Off)


[개념] 기존 회사의 특정 자산과 부채를 신설 회사에 이전하고, 기존 주주가 지분율에 따라 신설 회사의 주식을 배정받는 방식입니다. 주주 구성은 기존 회사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구조]
  - 기존 회사 → 신설 회사 (독립된 회사로 분리)
  - 기존 주주 → 기존 회사와 신설 회사의 지분을 모두 소유

[특징]
  - 주주가 신설 회사의 주식을 직접 소유.
  - 경영 독립성과 사업부문 분리가 용이.
  - 주식 상장 가능성이 높아 시장에서 즉각적인 가치 평가 가능





2. 물적분할 (Vertical Split-Off)


[개념]: 기존 회사가 신설 회사의 지분을 100%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모회사와 자회사 관계가 형성되며, 주주는 여전히 모회사의 지분만 소유합니다

[구조]
  - 기존 회사 → 신설 회사 (자회사로 설립)
- 기존 주주 → 모회사의 지분만 유지

[특징]
  - 모회사가 신설 회사를 완전히 지배.
  - 자회사 상장을 통해 투자금 회수가 용이.
  - 지배구조 유지가 가능하지만, 완전한 독립 경영은 어려움.

[예시] LG화학의 LG엔솔, 한전과 발전자회사




3.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장단점 비교


인적분할은 경영 독립성과 시장 평가를 중시하는 경우 적합하고, 물적분할은 지배력 유지와 자금 조달에 유리한 방식입니다.



주주입장에서는 인적분할이 지배회사입장에서는 물적분할이 유리한 점이 있는데요. 주식투자 시 잘 살펴보고 해야겠습니다.

데이터를 정리하고 알아보는 트루써니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