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ISA이중과세 문제 해소를 위한 추진 계획 발표 내용, 세율 단일화 및 손실펀드 반영

by 트루써니 2025. 2. 11.
728x90
반응형

ISA 이중과세 문제, 내년부터 해소… 법 개정 추진


이번 연도부터 절세계좌에도 세금 부과 얘기가 나오면서 미배당 ETF에 대해 논란이 많았는데요.

정부가 연금계좌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해외 펀드 배당금에 대한 이중과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확정했습니다.
ISA의 경우 세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연금계좌는 법 개정을 거쳐 내년부터 개선된 과세 방식이 적용될 전망입니다.


ISA 이중과세 해결 썸넬



핵심 내용

ISA: 외국납부세액 공제 방식 도입

  • 해외 펀드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해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외국납부세액)을 국내 세금에서 공제하는 방식으로 이중과세를 해소합니다.
  • 투자자가 ISA 만기 시 내야 할 9%의 세금에서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 일부를 차감하게 됩니다.
  • 해외 원천징수세율을 일괄적으로 14%로 간주하여 적용(미국 15%, 일본·중국 10% 등 감안).

연금계좌: 법 개정 후 2026년부터 시행

  • 연금계좌는 장기 운용되는 특성상 개별 펀드별 세액을 정확히 관리하기 어려워 법 개정을 통해 해결할 계획입니다.
  • 정부는 올해 내 법 개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이중과세 해소 방안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손실 펀드도 공제 포함

  • 기존에는 손실이 난 펀드는 세금이 없기 때문에 공제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모든 펀드의 외국납부세액을 공제 대상으로 포함했습니다.

배경 및 문제점

🔹 기존 방식의 문제점

  • 종전에는 국세청이 먼저 외국납부세액을 환급한 후, 투자자가 펀드 소득을 지급받을 때 원천징수를 했습니다.
  • 하지만 올해부터 ‘선(先) 환급, 후(後) 원천징수’ 방식이 폐지되면서 투자자들이 이중으로 세금을 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 ISA 및 연금계좌는 수십 년 동안 운용되며 여러 펀드가 편입되기 때문에 개별 펀드별 세액을 일일이 계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 해결책: 외국납부세액 ‘크레디트’ 도입

  • 펀드별 외국납부세액을 일종의 ‘크레디트’처럼 누적한 후, ISA 만기 시 내야 할 세금에서 공제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 공제율은 14%로 고정하여, 세금 계산을 단순화했습니다.

실제 투자자 영향

ISA 투자자는 세금 부담 감소

  • 기존에는 ISA 만기 시 해외 펀드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해 이중과세 부담이 있었으나, 이제 외국에서 납부한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투자자는 2026년부터 혜택

  • 연금계좌는 법 개정이 필요하여, 2026년부터 개선된 세제 혜택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금융권, 시스템 구축 필요

  • ISA와 연금계좌는 장기간 운용되며 수십 개의 펀드가 편입될 수 있어, 개별 세금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 업계에서는 당초 시스템 구축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지만, 정부와의 논의 끝에 ‘공제율 14% 적용’이라는 단순화된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 Simple is the best 👌

향후 전망

📌 2025년 하반기부터 ISA 공제 기준 적용

  • 기획재정부와 금융투자업계는 올해 상반기 세부 기준을 확정한 후, 2025년 7월부터 ISA 이중과세 해소 방안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 연금계좌 개정안, 올해 국회 처리 목표

  • 연금계좌 관련 법 개정은 올해 안에 마무리하고, 2026년부터 개선된 세법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 해외 투자 활성화 기대

  • 해외 펀드 투자 시 이중과세 부담이 완화되면서, ISA 및 연금계좌를 통한 해외 투자 수요 증가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해외 투자 ISA, 이제 더 유리해진다!

💡 이번 개정으로 ISA를 통한 해외 펀드 투자가 이중과세 부담 없이 더욱 유리해질 전망입니다.
💡 다만, 연금계좌 투자자는 2026년까지 기다려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와 금융권이 시스템 정비를 마친 후, 하반기부터 새로운 공제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므로 투자자들은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루써니의 <T의 데이터경제> 블로그를 읽어 주셔서 감사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