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해외 LNG선박 수요증대 현황 및 조선주 ETF 기대감

by 트루써니 2025. 2. 8.
728x90
반응형




작년 조선주가 많아 상승했다고 저번에 조사하고  나니 계속 관심이 가는데 마침 관련 기사가 있어서 조사해 봤어요. 친환경 연료 아니면 해상수송 규제가 있어서 선박수주가 글로벌하게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3~4년전부터 IMO규제로 시작되었는데요 이 규제가 우리나라 조선업에 호황일 거라는 내용입니다.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시장의 부상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시장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미국의 LNG 수출 확대 정책에 힘입어 관련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한국 조선업체들은 대형 LNG 운반선 시장의 70%를 점유하며,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도 기술적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1. LNG 추진선 시장의 재부상

(메탄올선에서 LNG선으로 전환) 2024년 글로벌 친환경 선박 발주 중 70%가 LNG 이중연료 추진선으로, 메탄올선(14%)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이는 LNG 벙커링 인프라(전 세계 276개 항만)가 메탄올(35개 항만) 보다 확장됐고, 연료 수급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2. 주요 선사들의 발주 변화

프랑스 CMA-CGM(12척), 대만 에버그린(11척) 등이 최근 LNG 추진 컨테이너선으로 계약을 전환했으며, 덴마크 머스크도 LNG선 발주를 검토 중입니다.

3. 한국 조선사의 경쟁력 강화

(기술 선도) HD현대마린설루션은 노후 LNG선을 FSRU(부유식 저장·재기화 설비)로 개조하는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인정받아 2025년 하반기 첫 수주를 예상합니다. 이는 신규 건조(2~3년)보다 1년 이내 완료 가능해 비용·시간 효율적입니다.

(미국 정책의 긍정적 영향)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LNG 수출 확대로 브라질·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이 FSRU 개조 수요를 늘리면서 HD현대마린설루션에 문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4. 시장 전망

2035년까지 LNG선 수요 2배 증가 전망(DNV 예측)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 확대와 유럽의 러시아 가스 의존도 감소가 주요 동력입니다.

중국과의 가격 경쟁 : 중국 조선사가 LNG 운반선과 컨테이너선을 저가로 수주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 중이지만, 미국의 제재(CSSC 블랙리스트)로 한국 기회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차세대 연료 준비 : 한국은 암모니아 추진선 기술에서 우위를 점유했으나, 2030년 이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 조선업계는 LNG 운반선뿐 아니라 FSRU 개조, 재액화 설비 장착 등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며,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의 가격 공세와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기술 혁신 필요성은 지속적인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한국 조선업계 '빅 3' 중 LNG 선박 수주 실적 비교


HD현대중공업이 최다량을 기록했으며,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주요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HD현대중공업

  • 카타르 2차 LNG선 17척 계약(2024년): 39억 달러 규모로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 규모

  • 아프리카 선사 대상 2척 추가(2025년): 5.32억 달러(척당 2.66억 달러)  CMA CGM과 12척 LNG 추진 컨테이너선 LOI 체결(2025년)
  • 전체 LNG선 수주량: 2024년 기준 누적 44척 중 17척 점유


2. 삼성중공업  

  • 카타르 15척 메가딜(2024년): 34.4억 달러 규모
  • 말레이시아 Petronas 3척(2024년): 6.71억 달러
  • 인도 AIL 1척(2025년): 2.59억 달러
  • UAE Adnoc 4척(2025년): 10억 달러급


3. 한화오션

  • 카타르 12척 계약(2024년): 18억 달러  
  • 아프리카 선사 4척 추가**(2024년): 9.2억 달러
  • Maran Gas Maritime 2척(2024년): 5.12억 달러



최근 3년간(2023-2025) 한국 빅 3은 총 "104척"의 LNG선 수주를 확보했으며, 이 중 HD현대가 44%, 삼성 36%, 한화오션 20%를 차지. 특히 HD현대는 척당 단가가 $265M로 업계 최고가를 기록하며 수익성 측면에서도 우위.



향후 전망으로는 2026년까지 카타르가 추가로 20척 발주할 예정이며, 이 중 QC-Max(271,000㎥) 초대형 선박 주문이 예상되어 기술 경쟁력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함께 읽어보세요 🥰

조선주ETF상품과 슈퍼사이클 기대이유 SOL조선TOP3.etf

조선주 ETF는 최근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주요 조선주 ETF와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주요 조선주 ETF1. SOL 조선 TOP3 플러스 (신한자산운용) - 가장 높은 수

truelysunny.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