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트루써니예요. 다들 ETF투자를 많이 하니 이제는 자산운용사가 알아서 반갑게 경쟁하네요.

ETF 수수료 인하 경쟁… 소비자에게 유리한 환경 조성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상장지수펀드(ETF) 수수료 경쟁을 벌이며,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ETF 시장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공모펀드 시장을 대체하는 핵심 투자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핵심 내용

✔ ETF 총 보수 인하 경쟁 가속화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두 자산운용사는 총 보수(운용보수+사무관리비 등)를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낮추는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 ETF 시장 점유율 경쟁 심화
각 자산운용사는 시장점유율을 위해 수수료율 인하를 위한 경쟁 중인데요.
- 삼성자산운용: 점유율 38.1%
- 미래에셋자산운용: 점유율 35.6%
✔ 총 보수(Total Expense Ratio, TER)도 고려해야
✔ 환헤지 여부도 중요
💡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 ETF 투자 전, TER(Total Expense Ratio = 총 보수 + 기타 비용) 꼭 확인해야 합니다.
TER = 총 보수 + 기타 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 총보수만 비교하지 말고, 숨은 비용(기타 비용, 매매·중개 수수료 등)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숨은 비용 중 기타 비용은 회계감사비, 지수사용료, 예탁원 결제보수, 채권평가보수, 해외자산보관수수료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라도 TER이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SPY기준
미래에셋 TIGER가 삼성 KODEX보다
미세하게 저렴하네요
0.0868 < 0.0888
하지만 최하위와 비교하면 엄청나죠
✅ 규모가 큰 ETF 선택이 유리
- 순자산 규모가 클수록 TER 비율이 낮아질 가능성 높아서 비숫한 규모라면 마켓셰어를 비교해 보고요..
- 일반적으로 상장 초기 ETF는 비용이 높을 수 있으므로, 1년 이상 운영된 ETF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장기투자자는 환노출형 ETF가 유리
- 미국 경제의 장기 성장성을 보고 투자한다면 환노출형 ETF가 유리.
- 환헤지형은 안정적이지만 환헤지 비용(금리 차이로 발생하는 비용)이 추가됨.
📢 결론: ETF 투자, 이제 수수료까지 꼼꼼히 따져보자!
💡 삼성과 미래에셋의 경쟁 덕분에 투자자들은 더 낮은 수수료로 ETF 투자 가능!
💡 하지만 총보수뿐만 아니라 숨은 비용(TER), 환헤지 여부까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
💡 장기적으로는 TER이 낮은 ETF를 선택하고, 환율 변동성까지 고려해 투자 전략을 세우자.
트루써니의 <T의 데이터경제> 블로그를 읽어 주셔서 감사해요 😀
728x90
반응형
'재테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이연법인세>에 대한 개념 정리 DTL, DTA 차이점 (0) | 2025.02.11 |
---|---|
ISA이중과세 문제 해소를 위한 추진 계획 발표 내용, 세율 단일화 및 손실펀드 반영 (1) | 2025.02.11 |
해외 LNG선박 수요증대 현황 및 조선주 ETF 기대감 (0) | 2025.02.08 |
T의 데이터경제 블로그 소개드립니다 (0) | 2025.02.08 |
KTX기차역 커피 10%할인을 위한 티켓 활용 방법 공유합니다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