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창신INC 등 신발 빅3 ODM시장현황 및 OEM과의 차이 비교 ODM약자

by 트루써니 2025. 2. 17.
728x90
반응형

최근 신발 ODM이 불황을 뚫고 빅 3 매출기준 10조 하이킥이라는 기사가 있었는데요. 기사의 내용은 디자인을 제조업체가 하는 ODM방식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제조업이 진화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먼저 한국의 신발 ODM시장을 살펴보고 OEM과의 차이점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기사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한국 신발 ODM 시장 현황 및 OEM vs ODM 비교

최근 한국의 신발 제조업체들이 ODM(제조자 개발 생산) 방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한국의 ODM 업체들과 협력하여 매년 5만 개 이상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ODM 빅 3' 기업들은 최대 실적을 달성하고 있다.

1. 신발 ODM 최대 실적

한국 신발 ODM 업체들은 글로벌 브랜드와 협력하여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창신 INC, TKG태광, 화승엔터프라이즈가 주요 기업으로 꼽힌다. 이들은 기술력과 생산 효율성을 바탕으로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한국 신발 ODM 업체 개요

업체명연간 생산량(켤레) 주요 협력 브랜드주요 생산국

업체명연간생산량협력브랜드주요생산국
창신INC6,900만나이키베트남, 인도네시아
TKG태광6,000만나이키베트남
화승엔터프라이즈5,500만아디다스베트남, 인도네시아
  • 창신 INC: 부산 사하구 신평동에 위치한 창신 INC는 나이키의 최신 육상화를 생산하여 마라톤 세계 신기록 달성에 기여했다. 이 회사는 매년 6900만 켤레의 신발을 생산하며, 796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연간 5만 개의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TKG태광: 나이키의 주요 ODM 파트너사 중 하나로,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다. 나이키 본사 R&D 직원이 상주하여 신발을 공동 개발하는 등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화승엔터프라이즈: 아디다스의 주요 ODM 파트너사로, 베트남에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대규모 전환사채(CB) 발행에도 불구하고 실적 개선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단가가 높은 제품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2. ODM이란 무엇인가?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은 제조업체가 제품의 설계, 개발부터 생산까지 모두 담당하고, 주문자는 자신의 브랜드를 부착하여 판매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제조업체가 제품 개발의 주도권을 가지며, 주문자는 마케팅과 판매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DM의 가장 큰 장점은 제품 개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게 시장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다.



3. OEM과 ODM 비교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과 ODM의 주요 차이점은 제품 개발의 주체에 있다. OEM은 주문자가 제품의 설계와 개발을 담당하고, 제조업체는 생산만을 맡는 방식이다. 반면, ODM은 제조업체가 제품의 설계, 개발, 생산까지 모두 담당하며, 주문자는 완성된 제품에 자신의 브랜드를 부착하여 판매한다.

OEM vs ODM 비교 차트

구분OEMODM
제품 개발 주체브랜드사제조업체
생산 주체제조업체제조업체
브랜드 적용브랜드사 브랜드브랜드사 브랜드
제품 차별화가능 (맞춤 제작)제한적 (공용 디자인 활용)
비용 부담브랜드사 부담제조업체 부담

 
OEM 방식은 브랜드사가 제품 기획과 설계를 주도하면서 제조업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제품 차별화가 가능하지만 연구개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반면, ODM 방식은 제조업체가 제품 개발을 주도하기 때문에 주문자는 최소한의 개입으로 신속하게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 그러나 ODM 방식은 제품의 독창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4. 한국 신발 ODM의 미래 전망

최근 글로벌 신발 시장에서 ODM 방식이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 ODM 기업들도 이에 발맞춰 연구개발(R&D) 투자와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경영이 강조되면서 친환경 소재 및 지속 가능한 생산 공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 신발 ODM 업체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신소재 개발, AI 기반 스마트 제조 시스템 도입, 디자인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향후 ODM 업체들은 단순한 제조 역할을 넘어 브랜드사와 공동 연구 및 디자인 개발을 확대하면서 차별화된 ODM 전략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신발 ODM 업체들은 글로벌 브랜드와 협력하여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혁신과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