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경제

세테크 꿀팁 절세계좌인 연금저축, IRP, ISA의 삼각형 황금배분법

by 트루써니 2025. 1. 8.
728x90
반응형


새해를 맞아 재테크 계획을 다시 세우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그래서 양자컴퓨팅 ETF를 ISA계좌로 구매했었는데요. 재테크의 기본은 절세인데, 오늘은 절세계좌의 입금한도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채워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 개인형 퇴직연금(IRP),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중 어떤 것을 선택하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궁금하신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절세계좌 입금순서 썸네일

절세계좌별 투자한도 및 특징


연금저축과 IRP는 합쳐서 연간 1800만 원까지 입금할 수 있습니다. 각 계좌마다 입금 한도를 설정해야 하며, 예를 들어 A IRP의 입금한도를 1300만 원으로 설정했다면 B 연금저축은 500만 원이 최대한도가 됩니다.

ISA의 투자한도는 연간 2000만 원입니다. 최소 3년 유지해야 하므로 총 6000만 원까지 넣을 수 있고, 최대 5년 동안 1억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비과세 혜택을 최대한 누리려면 ISA를 주기적으로 가입하고 해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세금을 가장 많이 줄이는 절세계좌 활용 순서

순서 금액 행동전략
1 600만원 연금저축 
2 300만원 IRP
3 1000만원 ISA 
4 900만원 연금저축 추가
5 1000만원  ISA 잔여



1.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 연간 900만 원까지 최대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600만 원까지만 세액공제가 가능하므로, 먼저 연금저축에 600만 원을 채우고
 
2. IRP에 300만 원을 넣어 총 900만 원의 세액공제 한도를 채우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연금저축을 먼저 채우는 이유는 투자의 자유도가 높고 환금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연금저축은 위험자산 투자 한도가 없어 더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고, 일부만 해지할 수 있으며 담보대출도 가능합니다.

3. 세액공제 한도를 채운 후에는 ISA에 1000만 원을 투자합니다. ISA 만기 시 이 금액을 연금저축이나 IRP로 이전하면 추가로 3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그다음 연금저축에 추가로 900만 원을 납입합니다. 연금저축은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원금에 대해 페널티 없이 출금할 수 있어 환금성이 좋습니다.

5. 마지막으로 ISA의 남은 한도 1000만 원을 채웁니다. 이렇게 하면 연간 3800만 원의 절세한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절세계좌를 활용할 때는 세금 절감과 환금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전략을 세워 효율적인 재테크를 실천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