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과 통계기반 사회정보

해외직구 통계 및 면세 및 세금기준 : 와인 1병, 세금 폭탄 받으면 안되요 와인세금기준

트루써니 2025. 4. 7. 17:41
728x90
반응형

해외직구 와인 1병, 세금 폭탄? 꼭 알아야 할 면세 기준


24년 기준 해외직구는 거의 8조원이 되고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한국경제신문기사 중 아래 와인 1병 해외직구 세금이 화들짝 기사가 나와서 팩트체크 해봅니다.

와인 1병 무심코 해외직구했다가…세금 보고 '화들짝'

직장인 A씨는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는 와인을 해외 직접구매로 주문했다가 깜짝 놀랐다. 와인 한 병을 사기 위해 30만원을 냈는데 여기에 추가로 관세를 비롯한 세금 20만4700원이 부과된 탓이다.

n.news.naver.com





해외직구를 자주 하는 직장인 A 씨는 최근 와인 한 병을 30만 원에 주문했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관세와 부가세 등 각종 세금으로 무려 20만 4700원이 추가로 붙었기 때문입니다. 해외직구를 고려 중이라면 '면세 기준'을 꼭 알아야 합니다.

#연도별 해외직구통계


왜 그럴까요?


해외직구 면세 조건 요약

1. 제품가격 150달러 이하: 면세 가능


> 미국 제품은 200달러 이하

> 배송비와 보험료는 제외


2. 150달러 초과 시


> 관세 + 부가세 + 기타 세금 부과



3. 주류 면세 기준:


> 1병(1L), 150달러 이하



예: 30만 원짜리 와인 1병 구매 시
총 세금 약 20만 원 발생 (관세, 주세, 교육세, 부가세 등 포함)




#와인직구시 세금기준


주류 외에도 면세 안 되는 품목들

  • 의약품
  • 건강기능식품
  • 식품류
  • 기능성 화장품 등



이들은 목록통관이 불가능하므로, 무조건 세금이 붙습니다.





직구 시 세금 계산 예시

1. 와인(30만 원)


총 세금: 약 20만 4700원

구성: 관세 4만 원 + 주세 10만 원 + 교육세 + 부가세 등


총 세율 약 68%



2. 의류(30만 원)


관세율 13% → 관세 약 3만 9천 원

부가세 10% → 약 3만 3천 원

총 세금 약 7만 2900원



3. 담배 10갑(30만 원)


관세율 40% → 관세 약 12만 원

부가세 및 소비세 등 포함 시 총 세금 약 18만 3천 원








꿀팁: 합산 과세 조심하세요


같은 판매자에게서 같은 날 여러 개 주문하고
같은 날 국내 입항하면 금액을 합산해 세금 부과
됩니다.





해외직구 증가 추세

2023년 해외직구 총액: 약 8조 원
2014년 대비 4배 이상 증가


이처럼 해외직구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세금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관세청 해외직구 예상세액 시스템을 활용해 사전에 세금을 계산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외직구 전, 꼭 체크하세요!

1. 물품 가격이 150달러 이하인지

2. 목록통관 가능한 품목인지

3. 세금이 얼마나 붙는지

4. 합산과세 대상이 아닌지



조금의 주의가 수십만 원의 세금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